Surprise Me!

[굿모닝경제] 가까스로 경상수지 흑자...그래도 반도체는 밝다? / YTN

2023-10-11 27 Dailymotion

■ 진행 : 나경철 앵커, 유다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석병훈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굿모닝 와이티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. 오늘 굿모닝경제는 석병훈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와 함께하겠습니다. 교수님 어서 오세요. 어제 한국은행의 지난 8월 경상수지 발표가 있었습니다. 8월 경상수지가 48억 1000만 달러 흑자였습니다. 넉 달 연속으로 흑자 기조가 이어지긴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석병훈] <br />그렇습니다. 왜 이렇게 경상수지에 우리가 집착을 하느냐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경상수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셔야 됩니다. 경상수지라는 것은 국가 간 상품, 서비스의 수출입뿐만 아니라 노동과 자본 같은 생산에 들어가는 요소들의 이동에 따른 대가를 주고받은 것. 이 모든 것을 합산한 것이라서 이것이 결국 국가 경제활동의 최종 성적표를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에 우리가 이렇게 경상수지를 주목하는 것입니다. 그런데 이번에 경상수지 흑자폭 같은 경우는 7월달 37억 4000만 달러보다 오히려 흑자폭이 커졌거든요. 그 원인은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커진 동시에 서비스수지의 적자폭은 줄어든 것이 주 원인이 되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단 흑자는 났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수출보다는 수입이 더 줄어서 흑자가 이어진 거잖아요. 경제 우려는 여전한 것 같은데 앞으로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? <br /> <br />[석병훈] <br />맞습니다.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상품수지인데요. 상품수지라는 것은 결국 상품을 우리가 수출한 것에서 수입을 뺀 것입니다. 그런데 이번에 상품수지의 흑자폭이 증가한 것은 상품의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6.5%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의 수입이 오히려 더 크게, 21%나 감소했기 때문에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어들었으니까 수출에서 수입을 뺀 상품수지는 오히려 늘어나는. 그래서 흑자가 된 것을 나타냅니다. 이것을 경제학에서 불황형 흑자라고 하는데요. 이것을 무조건 비관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는 것이 긍정적인 조짐이 데이터에서는 관찰되고 있습니다. 왜냐하면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건 확실하지만 감소하는 폭이 7월에는 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1207281705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